설 연휴 엿새로 확대, 27일 임시공휴일 지정 확정
정부·여당, 내수경제 활성화 위해 1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키로
지난 8일 정부·여당은 오는 27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설 연휴 기간을 총 엿새(1월 25~30일)로 늘려 소비를 진작하고 침체된 내수 경제를 살리겠다는 취지다. 특히 설 당일(29일) 이전에 나흘을 몰아 쉬는 형태로 연휴가 구성된다. 이 방안은 오는 14일 국무회의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현재 설 연휴는 1월 28일(화)부터 30일(목)까지 3일간이다. 여기에 주말(25일 토요일, 26일 일요일)과 27일 임시공휴일이 더해져 총 6일간의 긴 연휴가 만들어진다. 정부는 이를 통해 국민들의 소비심리를 자극하고 관광업계 등 서비스업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31일 공휴일이 더 낫다” 반박 의견 등장
그런데 최근 일각에서 “27일이 아닌 31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경우 연휴 기간은 1월 28일부터 2월 2일까지가 된다. 기간은 엿새로 동일하지만, 설 당일 후에 몰아 쉬는 것이 차이점이다.
31일 공휴일 지정을 주장하는 측은 몇 가지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먼저 월간 업무 마감일(31일)에 쉬는 것이 직장인의 업무 부담을 덜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설 전에 길게 쉬면 며느리들의 가사 부담이 늘어난다는 지적과 함께, 명절을 마치고 편하게 쉴 수 있다는 점도 논거로 들고 있다.
정부 “27일 공휴일이 더 유리” 최종 결론
당초 정부도 내부 논의 과정에서 ’31일 휴일’을 여러 방안 중 하나로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27일 휴일’이 더 많은 장점이 있다고 최종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우선 월말 마감일 문제를 살펴보면, 사실 언제 쉬든 월말 정산 작업 자체는 사라지지 않는다. 게다가 31일 마감이 필수적인 회사의 경우, 이날이 공휴일이라도 일부 직원은 ‘휴일 근무’에 동원될 가능성이 높다. 차라리 27일에 쉬는 것이 회사와 근로자 모두에게 유리하다는 판단이다.
자영업자들에게도 27일 휴일이 더 유리
토요일에 일해야 하는 식당 등 자영업자들에게도 27일 공휴일 지정이 ‘긴 휴식’을 보장해준다는 분석이다. 27일 휴무 시 일요일(26일)부터 목요일(30일)까지 닷새를 연속으로 쉴 수 있다. 반면 31일 휴무이면 화요일(28일)부터 금요일(31일)까지 나흘 쉬고 토요일(2월 1일)에 다시 일해야 한다.
귀성길 교통 분산 효과를 고려해도 설날 전에 길게 쉬는 27일 휴무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무엇보다 이미 27일 휴일을 전제로 세워놓은 각종 계획들을 고려하면, 지금 와서 공휴일을 바꾸는 것은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했다.
핵심은 소비 진작 효과
어느 날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할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을 수 있다. 근로자와 사업자의 입장이 다르고, 업종별로도 선호도가 나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원래 목표대로 사람들이 길어진 연휴 기간에 지갑을 여는지 여부다.
정부는 이번 엿새 연휴를 통해 국내 관광 활성화와 소비 증진을 기대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위축된 내수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특히 서비스업계의 매출 증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모처럼 만의 ‘엿새 휴일’에 국민의 소비 심리에도 훈풍이 불기를 기대한다.
#koreanews #latestnews